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적금·금융 상품

국민은행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회차 오류 발생 시 이렇게 해결하세요

주택청약 회차 가점

국민은행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동이체가 아닌 수동 입금 시 회차가 꼬일 수 있습니다. 오류 정정 방법과 가점 유지 꿀팁까지 정리했습니다

 

국민은행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쓰는 분들이라면 ‘회차 꼬임’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실 거예요. 저도 실제로 겪었습니다.

2025년 2월부터 매달 10만 원씩 꼬박꼬박 넣고 있었는데, 5월에 자동이체를 깜빡해서 수동 입금을 했더니,

통장에  뜬 문구는"2025년  8월분  납입  완료"
회차도 갑자기 3회차 7회차로 증가

이게 무슨 일이냐고요?

청약통장 회차는 '납입일'이 아니라 '시스템 기준 회차'로 인식된다

청년 주택드림 통장은 납입이 ‘몇 번이나 이루어졌느냐’가 중요한데요. 문제는 자동이체가 아니면 이 회차 인식이 어긋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수동으로 입금한 경우, 국민은행 시스템은 앞 회차를 건너뛰고 가장 먼 미래 회차를 먼저 채우는 방식으로 회차를 인식합니다.

✅ 예를 들어, 5월에 수동 입금했지만 시스템은 8월 회차로 착각할 수 있다는 뜻이죠.

회차가 꼬이면 무슨 문제가 생길까?

청약통장 회차는 단순히 기록이 아니라 청약 가점 계산 시 핵심 변수입니다.

 

만약 실제로는 3회차밖에 안 되었는데 시스템에 7회차로 잘못 찍혔다면, 청약 접수 시점에 납입 횟수 부족으로 감점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정책형 청약은 연속 납입 조건이 있기 때문에 회차 꼬임은 단순 오류가 아니라 ‘자격 박탈’로 이어질 수도 있어요.

이럴 때는 반드시 은행에 '회차 정정 요청'을 하세요

실제 해결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KB국민은행 고객센터(1588-9999) 또는 영업점 방문해서 "청년주택청약통장 회차 오류 정정 신청"을 요청하면 됩니다.

 

은행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처리합니다:

  • 거래 내역 확인
  • 납입일 기준 수동 입금 여부 확인
  • 회차 재정정 요청 접수 및 반영

정정은 빠를수록 좋습니다.
청약 신청일 기준으로 회차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마지막 점검 체크리스트

항목확인 여부
자동이체 설정 여부
수동 입금 내역 확인
회차 이상 여부 확인
회차 정정 요청 여부
5~6월분 납입 여부

통장에 찍힌 회차만 믿지 마세요

청년청약통장은 ‘납입 횟수’가 생명입니다. 내가 제대로 돈을 넣었더라도 시스템이 엉뚱한 회차로 기록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내 회차를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수동 입금 이력이 있다면 정정 요청도 함께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 다음 글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청약통장, 무조건 오래 넣으면 가점 오를까?”
놓치기 쉬운 감점 조건 3가지 정리편 → Coming soon